Java

증감 연산자

hs_developer 2022. 5. 3. 21:25

 

if, for, while문과 같은 반복문에 많이 사용되며 피연산자로서 정수형과 실수형 모두 사용할 수 있으나 주로 정수형 변수에 사용된다.

 

 

++x : 증가 후 출력

--x : 감소 후 출력

x++ : 출력 후 증가

x-- : 출력 후 감소

 

 

public static void main(String[] args) 
{
    int a = 10, b = 10, x, y;
    a++;
    b++;
    System.out.println("a: " + a + ", b: " + b);

    x = --a;
    y = b--;
    System.out.println("a: " + a + ", b: " + b);
    System.out.println("x: " + x + ", y: " + y);

}


// 결과 값
a: 11, b: 11
a: 10, b: 10
x: 10, y: 11

 

a와 b에 각각 저장되는 값은 10과 11이다. 왜냐하면,

 

x = --a에서 x에 대입되기 전에 a 값이 -1 감소하고, 그 후에 그 값이 x에 대입되며,

y = b--에서 y에 b 값이 먼저 대입되고 b 값이 -1 감소한다. 

 

 

 

 

 

public static void main(String[] args) 
{

    int num1 = 7, num2 = 7;
    int result1, result2;

    result1 = --num1;
    result2 = num2--;

    System.out.println("전위 감소 연산자에 의한 결과: " + result1 + ", 변수의 값: " + num1);
    System.out.println("후위 감소 연산자에 의한 결과: " + result2 + ", 변수의 값: " + num2);


}


// 결과 값
전위 감소 연산자에 의한 결과: 6, 변수의 값: 6
후위 감소 연산자에 의한 결과: 7, 변수의 값: 6

 

 

'Java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향상된 for문  (0) 2022.05.11
반복문 for  (0) 2022.05.10
연산자, Args, printIn/printf, 형 변환  (0) 2022.05.01
Scanner 클래스  (0) 2022.05.01
SET, GET 사용 이유와 예제  (0) 2022.03.29